티스토리 뷰
도커 교육을 듣고 간단하게 도커 컨테이너에 배포해봤다.
먼저 스프링부트로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든다.
만든 후, jar파일로 빌드한다.
도커 파일을 만든다.
Dockerfile은 프로젝트 최상단에 생성해줬다.
FROM openjdk:11-slim
EXPOSE 8080
ADD build/libs/dockerTest.jar dockerTest.jar
ENTRYPOINT ["java","-jar","dockerTest.jar"]
여기에 사용된 도커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.
명령어 | 설명 |
FROM | 생성하려는 이미지의 베이스 이미지 지정 |
EXPOSE | 컨테이너가 호스트 네트워크를 통해 들어오는 포트 지정 |
ADD | 호스트 환경의 파일, 디렉터리를 이미지 안에 복사, 압축 파일인 경우에는 지정한 경로에 압축을 풀어서 추가 |
ENTRYPOINT | 컨테이너가 실행될 때 명령어 및 인자 값을 전달하여 실행 |
도커 파일을 빌드해주자.
docker build -t dockertest:1.0 .
완료하면 생성된 도커 이미지를 볼 수 있다.
컨테이너를 올려보자.
docker run -it --name dockerTest -p 8080:8080 dockertest:1.0
테스트!
'개발 > 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ocker] - Failed to get D-Bus connection: Operation not permitted (0) | 2022.03.30 |
---|---|
[Docker] - 종료된 컨테이너 삭제 단축어 등록 (0) | 2022.03.30 |
[Docker] - cannot connect to X server (0) | 2021.11.04 |